삼성화재는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과 주주 및 고객가치 극대화를 위해 전사 통합 리스크 관리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조직

리스크 관리 조직

전사의 주요 리스크 통합 관리를 위해 리스크관리위원회 및 관리조직을 통하여 리스크 관리 전략을 수립·운용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 리스크관리위원회
  • CRO
    • 상품위원회
      (장기, 자동차, 일반, 퇴직)
    • 상품담당부서
    • 자산운용위원회
      (자산 RM, 여신, 투자)
    • 자산담당부서
  • 계리 RM팀
    • 보험 및 운영
      리스크 관리
    • ALM(금리)
      리스크 관리
    • 시장, 신용 및 운영
      리스크 관리

CRO(Chief Risk Officer)

CRO는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운영하며, 상품위원회, 자산운용위원회에 참여하여 회사 전반의 리스크 관리 업무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전담부서

CRO 산하에 리스크 관리 전담부서인 RM기획파트, RM 운영1파트, RM 운영2파트가 설치되어 리스크 측정 및 모니터링, 리스크 통제 등 리스크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전담부서는 보험영업 및 자산운용 부서와 분리 운영되어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리스크 관련 의사결정을 위해 보험부문은 일반/장기/자동차보험 상품 위원회, 자산운용부문은 자산RM위원회, 투자심의위원회, 여신심의위원회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리스크관리위원회

이사회 내 소위원회로서 회사의 경영의사결정에 리스크 관리 정책을 반영하고 경영진이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합니다. 또한, 보험영업 및 자산운용 등에 따른 리스크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문화를 회사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사내이사 1인과 사외이사 2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리스크관리위원회는 이사회의 권한을 위임 받아 경영전략에 부합하는 리스크 관리 기본 방침의 수립, 회사가 부담 가능한 리스크 관리 기본 방침의 수립, 회사가 부담 가능한 리스크 수준의 결정, 리스크 허용한도의 결정, 리스크관리규정의 제정 및 개정 등의 사항을 결정하고 있습니다.